40대 취업자 감소

2020. 2. 16. 10:31


40대 취업자 감소 이유는?


늘 행복이 가득한 시간 되세요. 안녕하세요. 건강정보와 생활정보를 드리는 애브리하우입니다. 오늘은 한국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40대(40∼49세) 취업자가 도매 및 소매업,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감소했다고 하는 40대 취업자 감소 이유 및 원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께요.

16일 통계청이 공개한 경제활동인구 마이크로데이터를 산업별로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40대 일자리는 도매 및 소매업, 제조업 순으로 감소폭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어난 60대 일자리는 단순노무 종사자나 임시 근로자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40대 취업자는 도매 및 소매업에서 4만8천명, 제조업에서 4만4천명 각각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1월 전체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6만8천명 증가하며 5년 5개월 만에 가장 많이 증가했지만, 40대 취업자는 8만4천명 감소하며 전 연령대 중 유일한 마이너스(-)를 나타낸 바 있다.

연령대별 취업자를 종사상 지위로 비교해 보면 40대 일자리는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월 40대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11만9천명 감소했습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9만3천명,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2만6천명 각각 줄었습니다.



이러한 40대 자영업자 감소폭은 전 연령대 중에서 가장 컸습니다. 50대는 6만3천명 감소했을 뿐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모두 자영업자가 늘었습니다.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자영업자가 10만5천명 늘어났습니다.




자영업 업황은 꾸준히 악화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소득부문을 보면 작년 3분기 전국 가구의 사업소득은 87만9천800원으로 4.9% 감소하며 4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감소폭은 2003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입니다.



지난 1월 1년 전보다 8천명 증가하며 2018년 4월부터 이어온 감소 행진을 끝낸 제조업 취업 여건은 40대에서만큼은 어려웠습니다. 제조업 취업자는 60대 이상 3만7천명, 50대 1만6천명 증가하는 동안 40대에서는 오히려 4만4천명 감소했습니다.

반면 60세 이상은 40대와 달리 최근 고용 지표가 호조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지난 1월 60세 이상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0만7천명 늘어나면서 1982년 7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가 나타났습니다.




60세 이상 취업자를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해 산업별로 분석한 결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2만7천명·이하 보건복지)과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6만5천명·이하 공공행정)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이 두 분야는 재정 일자리 사업 효과가 집중되는 분야다. 통상 1월은 재정 일자리 사업 준비 기간이지만, 정부는 올해 준비 기간을 앞당겨 사업을 조기 집행해 1월부터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재정 일자리 사업은 단순 업무나 안정성이 떨어지는 부문을 중심으로 효과가 나타난 모양새입니다.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지난 1월 직업별 증감을 분석한 결과, 보건복지와 공공행정 모두 업무가 간단하고 요구되는 기술 수준이 낮은 '단순노무 종사자'의 증가폭이 가장 컸기 때문입니다. 단순노무 종사자는 보건복지 분야에서 7만9천명, 공공행정 분야에서 5만7천명 각각 늘어나며 증가를 주도했습니다.



60세 이상을 종사상 지위별로 분석해 보면 역시 '임시근로자'(계약기간 1개월 이상 1년 미만)의 증가가 전체 취업자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임시근로자는 보건복지 분야에서 9만2천명, 공공행정 분야에서 5만4천명 각각 늘어났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60세 이상 증가 50만7천명 중 약 20만명은 재정 일자리 효과이며 단순노무 종사자나 임시근로자 위주인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나머지 약 30만명 취업자 증가분은 민간중심의 고용 회복세가 반영됐으며, 작년까지 59세 취업자가 1월 들어 60대로 넘어온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우리 경제의 '허리'인 40대와 50대의 비자발적 퇴직자가 49만명에 육박하며 5년 만에 최대치를 나타냈습니다. 정부는 40대 일자리 난을 해소하기 위해 작년 말 '40대 일자리 태스크포스(TF)'를 출범했습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역량 강화, 창업 지원 등의 대책을 구체화해 3월 말 발표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 허리층인 40대와 50대의 고용 상황이 최악인 상황에서 어르신 단기 일자리와 같은 세금 일자리 늘리기에만 치중 할 것이 아니라 민간 활력을 높이고 경제 체질을 바꾸는 근본 처방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인 것 같습니다. 


이상은 경제주축인 40대 취업자 감소 소식과 함께 알아 본 취업현황 정보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